본문 바로가기

대학원13

카이스트 대학원 - 재학생 대상 석박통합 전환 최근에 너무 바빠서 블로그에 글을 쓰지 못하였습니다. 서론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의 경우 박사 진학을 하는 방법이 3가지가 존재합니다. 석사 졸업 후 박사 진학 석박사 (석박) 통합 과정으로 진학 석사를 1학기 다닌 후, 석사과정 재학생 대상 석사 박사 학위 통합과정으로 전환 1, 2 번은 당연한 방법인데, 3번이 다른 대학원, 다른 학과에는 없을 수 있습니다. 쉽게 말하자면, 석사로 입학하였는데, 석사를 1학기 보내고 어차피 그 랩으로 박사까지 진학할 생각이라면 (1번으로 할 것) 차라리 석박사 통합으로 입학한 것처럼 (2번) 바꿀 수 있는 제도입니다. 그래서 만약 전환에 합격하고 전환을 한다면, 그 다음학기부터, 입학 후 2년차부터 2번 학생들처럼 박사로 취급됩니다. 석박사 통합 과정이 평범한 .. 2020. 9. 28.
카이스트 대학원 생활 - 학점 서론 1학기가 지났습니다. 이제 방학이 된지도 좀 됐고 현재 잠깐 휴가도 나와 있습니다. 카이스트에서 학점을 받아본 기억도 없고 대학원에서 학점을 받아본 기억도 없어서 성적 발표되는 전날까지도 전혀 감이 안 잡혔습니다. 사실 대학원은 학점을 그렇게 중요하게 보지도 않고 잘 나오기만 하면 잘 준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았는데, 카이스트 애들에게 물어보면 또 막 그렇지는 않았습니다. 연대 졸업하고 카이 대학원 간 선배 얘기를 들어봐도 열심히 하면 A를 주고 마냥 퍼주는 건 절대 아니라고 하더라고요. 카이 대학원 1학기 해보면서 느낀 점인데 타대 대학원 (해봐야 연대지만)에 비해서 코스웍을 왜 그렇게 빡세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.ㅋㅋ 물론 정말 배우는 것을 잘 익힐 수 있고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수업이 나름 .. 2020. 7. 21.
카이스트 대학원 생활 - 인턴 카이스트 대학원에 2020년 봄학기 신입생으로 합격하고, 아직 개강은 하지 않았지만 1월 중순부터 미리 랩에 들어와 생활하는 중입니다. 미리 랩에 들어와서 뭐하냐 궁금하실 수 있는데, 랩 분위기 파악도 하고 적응도 하고 사람들이랑 친해지는 것부터 해서 공부도 하고 교수님께서 주신 작은 프로젝트도 하는 중입니다. 확실히 공부는 잘 됩니다. 이제는 머신 러닝 코드 짠 것이 조금은 오래 기다려야 해서 그동안 이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. 다른 배경 지식을 공부해야 하기도 하지만 잠깐 쉬어가는 것으로 생각합니다. (대학원에 오니까 쉬는 시간이 굉장히 중요하고 그동안 무엇을 하며 쉴지 찾는 시간이 필요한 것 같아요) 게다가 블로그 글도 써야지 써야지 하면서 안 쓴 지 정말 오래되었기도 합니다. 대충 목차를 적어보았는.. 2020. 2. 26.